Learning with online/QGIS

가상 래스터 & RGB

pyh5214 2023. 4. 17. 23:29

GIS 업체에 처음 입사를 하면서, 드론을 통해 촬영한 이미지(TIF 형식)에서 '경작지'를 폴리곤 형태로 라벨링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었다. (정확히는 폴리곤 수정작업)

 

#TIF 파일

TIFF (Tagged Image File Format)는 앨더스(Aldus)사와 마이크로소프트사가 공동 개발한 이미지 저장 포맷이다. 사용자가 고쳐서 쓸 수 있는 유연함이 특징이다. 1980년대 스캐너 제조사들이 일반적인 파일 형식을 사용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. 컴퓨터와 스캐너의 성능이 점차 향상되자 TIFF의 스펙도 그레이스케일과 컬러이미지를 지원하도록 발전하였다.

 

그 과정에서 '가상 래스터 생성'을 통해 R,G,B 3가지 밴드로 이루어진 레이어들을 하나의 레이어로 생성하였고, 그 결과 익히 알던 컬러형태의 이미지로 표현되었다. 그래서 과연 가상 래스터란 무엇이고, RGB 파일들이 각각 어떻게 쓰인 것인지 알아보고자 한다.

 

✅ 래스터란?

- 래스터 데이터는 벡터데이터와 매우 다름

- 래스터 데이터는 우리가 일만적으로 보는 사진, 이미지와 같은 것임

- 사진과 이미지를 확대해보면 작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음

- 이 작은 사각형을 픽셀이라고 부르며 서로다른 색의 픽셀로 표현한 데이터를 래스터 데이터라고 부름

 

래스터/비트맵 방식은 효율적이고, 용량도 적다

래스터 이미지의 특징은 효율이 매우 좋다는 것입니다. 물감의 양을 덜 쓰면서 최대한의 효율을 내려고 했던 것처럼 비트맵 이미지 역시 제한된 정보로 사진과 최대한 비슷한 이미지를 표현해줄 수 있습니다

래스터/비트맵 해상도의 한계

래스터/비트맵 방식은 항상 해상도의 영향을 받습니다. 그래서 복잡한 이미지를 작은 해상도에 표현할 경우엔 이미지가 뭉개지거나, 형체를 알아볼 수 없게 됩니다. 

 

# 래스터 데이터 사례 참고

https://hochiriranalysis.tistory.com/m/33

 

QGIS 기초 공부하기 : 6.1 래스터 데이터 불러오기

본 내용은 QGIS 공식 홈페이지 교육교재 https://docs.qgis.org/3.4/ko/docs/training_manual/index.html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. 이 포스트에서 사용되는 연습용 데이터는 아래에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

hochiriranalysis.tistory.com

 

# 래스터 관련 함수_ArcGIS

https://doc.arcgis.com/ko/arcgis-online/analyze/use-raster-functions-to-customize-raster-analysis.htm

 

래스터 함수—ArcGIS Online | 문서

래스터 함수 ArcGIS Online의 래스터 분석에는 래스터 분석 도구와 래스터 함수가 포함됩니다. 래스터 함수는 새 영상 레이어를 생성하기 전에 결과를 미리 볼 수 있는 작업이며 복잡한 워크플로를

doc.arcgis.com

 

 

✅ RGB

 

 

# 드론 촬영 이미지를 활용한 RGB 색상 분석

https://scienceon.kisti.re.kr/srch/selectPORSrchArticle.do?cn=DIKO0015766865&dbt=DIKO 

 

[논문]딥러닝을 이용한 드론 기반 RGB 영상의 농작물 분류

 

scienceon.kisti.re.kr